질병관리본부 “지역 주민들 개인위생에 철저 기해야”
서울·경기·충북·전북 등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중심으로 감염병 등 2차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정부가 서둘러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16일 질병관리본부는 수해지역의 주민 및 복구작업 참여자 등에게 감염병과 각종 질병 예방을 위해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라고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집중호우, 홍수 등의 피해지역에는 각종 수인성감염병과 유행성 눈병 등이 유행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이들 지역의 주민은 상기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손씻기를 철저히 하고, 음식물은 되도록 충분히 가열해 섭취해야 한다. 또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 하며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집주변에 고인 물을 제거하고 모기 활동이 왕성한 저녁부터 새벽까지는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발열, 설사가 있거나 피부가 붓는 등 몸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농촌 침수지역에서는 상처 난 피부를 통해 렙토스피라증에 감염될 우려가 높으므로, 벼세우기 작업 등을 할 경우 반드시 장화 및 고무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작업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인근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에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수해 복구 작업 중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질병본부는 이번 수해와 관련해 충남, 전북 외 2개 시·도 수해지역에 액체비누와 손소독제, 피부연고제 등 중앙방역비축물품을 지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