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여객선 사고가 15척으로 조사돼 지난해 같은 기간(8척)보다 늘어나는 등 해양사고가 계속 발생함에 따라 특별 안전대책이 추진된다.
국토해양부는 올해 추진 중인 ‘해양사고 10% 감소’ 목표달성을 위해 예부선, 여객선, 요트 등 취약선을 중심으로 사고 저감을 위한 특별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해양사고의 34%를 차지하는 예부선(47척 사고)의 안전강화를 위해 해운선사와 선박검사 대행기관으로 하여금 각각 매월 1회 안전교육과 안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아울러 화물선 위주로 실시하던 순회 교육을 준설선, 급유선 등 기타 선종의 선원으로 확대해 선원의 과실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한편 국토부는 여객선에 대해서는 해양경찰청과 해운조합 합동으로 운항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체·기관 등 선박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집중 실시키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을 운항하는 국제여객선 30척을 대상으로 한·중, 한·일 정부 합동 특별점검이 시행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선원의 고령화, 선박노후화 등이 해양사고 발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라며 “사고방지를 위해 해운선사는 소속 선원에 대한 자체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선박에 대한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토해양부는 올해 추진 중인 ‘해양사고 10% 감소’ 목표달성을 위해 예부선, 여객선, 요트 등 취약선을 중심으로 사고 저감을 위한 특별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해양사고의 34%를 차지하는 예부선(47척 사고)의 안전강화를 위해 해운선사와 선박검사 대행기관으로 하여금 각각 매월 1회 안전교육과 안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아울러 화물선 위주로 실시하던 순회 교육을 준설선, 급유선 등 기타 선종의 선원으로 확대해 선원의 과실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한편 국토부는 여객선에 대해서는 해양경찰청과 해운조합 합동으로 운항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체·기관 등 선박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집중 실시키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을 운항하는 국제여객선 30척을 대상으로 한·중, 한·일 정부 합동 특별점검이 시행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선원의 고령화, 선박노후화 등이 해양사고 발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라며 “사고방지를 위해 해운선사는 소속 선원에 대한 자체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선박에 대한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