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방위적 대책 마련 돌입
서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먹거리, 교통, 전기 요금 등이 줄줄이 올랐거나 오를 예정에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먼저 대표적인 요금 인상품목은 먹거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농심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최근들어 일부 품목의 가격을 인상했다.
CJ제일제당은 햇반(210g) 가격을 1,280원에서 1,400원으로 9.4% 올렸다. 농심은 새우깡의 가격을 900원에서 1,000원(11%)으로 올렸고, 삼양식품은 삼양라면을 기존 700원에서 760원으로, 수타면은 700원에서 750원으로 올렸다. 또 롯데칠성음료는 사이다와 콜라, 이온음료, 캔커피 등 10개 품목의 가격을 출고가 기준으로 8~17% 가량 올렸다.
교통비도 인상이 예고돼 있다. 지자체별로 내년 초부터 택시 요금이 오르고, 시외버스 요금도 인상될 전망이다.
일단 부산시는 내년 2월부터 택시 기본요금을 2,200원에서 2,900원으로 700원 인상할 예정이다. 울산시도 오는 9월말에 물가정책 심의위원회를 열어 인상폭을 확정하고 내년 2월 택시 기본요금을 인상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경우 아직 택시 요금 인상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택시업계의 인상 요구가 빗발치는 만큼 언제든 요금이 인상될 수 있는 상황이다.
또 2년 주기로 오르는 일반 완행버스와 직행버스, 고속버스(시외버스 고속형) 등 3대 시외버스 요금도 인상안이 검토되고 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시외버스 요금 인상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적용 시기나 인상 폭은 정해진 바가 없다”고 밝혔다.
참고로 과거 일반 완행버스와 직행버스는 10% 내외의 인상률을 고속버스는 5% 내외의 인상률을 보였다.
한편 이달 초 인상된 전기요금의 경우 유류, LNG, 석탄 등 발전연료비 상승 등에 따라 추가로 요금이 오를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실제로 지식경제부는 지난 6일부터 전기요금을 평균 4.9% 인상하면서 요금 인상률이 10% 이상은 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겨울철 전력 피크가 도래하기 전에 추가 인상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金총리 ‘생활물가 인상 우려, 선제적 대책 강구’
이처럼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를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는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17일 “관계부처들은 선제적으로 물가관리대책을 강구해서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세계적인 기상 이변에 따른 곡물가격 상승으로 생활물가 인상 등의 연쇄적인 파급 효과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