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 10명중 7명은 수입산 식품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비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입식품의 안전에 대해 응답자의 70.8%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수입산 식품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50대 이상의 76.4%, 40대 72.9%, 30대 67.7%, 20대 56.0% 순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원산지별로는 중국산 먹거리를 가장 불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산 식품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이 89.7%로 가장 많았고, 일본산과 미국산 식품을 우려한다는 응답은 각각 67.2%, 62.6%인 것으로 조사됐다. 유럽산(23.1%)과 호주·뉴질랜드산(16.9%)을 불신한다는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수입산 먹거리 중 불안한 품목으로 응답자들은 ‘축산물’(5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는 농산물(40.7%), 수산물(28.1%), 건강기능식품(13.4%), 유가공품(12.6%), 양념류(12.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불안감 탓에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싸도 국내산을 수입산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국내산 식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4.8%는 ‘그렇다’고 답했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중국산은 불량식품, 일본산은 방사능 오염 등의 이유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컸다”라며 “이런 불안감은 특히 외국 음식 문화에 익숙한 젊은층 보다 안전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1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비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입식품의 안전에 대해 응답자의 70.8%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수입산 식품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50대 이상의 76.4%, 40대 72.9%, 30대 67.7%, 20대 56.0% 순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원산지별로는 중국산 먹거리를 가장 불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산 식품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이 89.7%로 가장 많았고, 일본산과 미국산 식품을 우려한다는 응답은 각각 67.2%, 62.6%인 것으로 조사됐다. 유럽산(23.1%)과 호주·뉴질랜드산(16.9%)을 불신한다는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수입산 먹거리 중 불안한 품목으로 응답자들은 ‘축산물’(5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는 농산물(40.7%), 수산물(28.1%), 건강기능식품(13.4%), 유가공품(12.6%), 양념류(12.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불안감 탓에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싸도 국내산을 수입산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국내산 식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4.8%는 ‘그렇다’고 답했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중국산은 불량식품, 일본산은 방사능 오염 등의 이유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컸다”라며 “이런 불안감은 특히 외국 음식 문화에 익숙한 젊은층 보다 안전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