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유사사고 방지 위한 ‘비상운영체제’ 돌입

지난달 27일 발생한 부산 대티역 전동차 화재사고(40여명 부상, 본지 161호 1면)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화재현장에서 자체조사를 실시한 부산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전동차 위에서 전기를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팬터그래프의 절연애자에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절연애자는 전동차 객차와 팬터그래프를 분리시켜 전기가 선로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부품을 말한다.
부산교통공사는 그동안 절연애자를 포함한 팬터그래프에 대한 점검을 외주업체에 맡겨 2~4년마다 중간·정기검수를 해왔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검수를 통해 절연애자 내부의 미세한 균열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팬터그래프에서 분리한 애자를 물로 씻은 뒤 외관상 이상이 있는지 살펴보는 수준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비파괴 검사 등 강화된 점검 방식을 검토해야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사고와 관련해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국토해양부는 철도안전감독관과 산·학·연 민간전문가로 점검반을 구성하여 특별 점검을 실시했다.
지난해와 올해 세 차례 유사한 화재사고가 발생하면서 부실점검 논란을 빚은 부산도시철도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규명과 문제해결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점검의 최종보고서는 내년 초에 나올 전망이다.
교통공사, 특별점검반·외부 특별안전위원회 구성
부산교통공사는 이번 화재사고를 계기로 열차 운영과 업무 추진에 대해 비상운영체제로 돌입했다. 그리고 지난 3일 도시철도 운행 및 안전체계 전반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그 주요 내용으로는 ▲ 1일1회 이상 경영진 현장점검 ▲간부급 직원 공휴일 비상대기 근무 ▲차량·전기 등 전문분야 특별점검반 구성 ▲외주업체와의 운행 관련 협력 강화 ▲1호선 전동차와 설비 개선 ▲외부 전문가 특별안전위원회 구성 등이다.
이중 특별안전위원회는 도시철도 관련 산학연 외부 전문가 10여명과 공사 안전 관련 부서장 8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국토해양부 산하 교통안전공단의 지원을 받아 선진 도시철도 사례를 조사하고 모든 분야에 걸쳐 일제 점검을 실시한 후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교통공사는 이들 계획을 통해 열차 화재사고의 재발을 막는 것은 물론 도시철도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부산교통공사의 배태수 사장은 “부산 도시철도의 안전성에 대해 더 많은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임직원들이 비상한 각오로 이번 계획들을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