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 창원산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성훈 과장
무덥고 습한 여름이 지나고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에 접어들면 자연스레 야외 활동이 늘어난다. 그러나 이 시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 중 하나가 아이러니하게도 열성 전염병이다. 가을에 흔히 발생하는 열성 전염병으로는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병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 이들 질환의 병원체와 감염경로는 각각 다르지만 초기에는 모두 고열, 두통, 근육통 등 심한 몸살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여, 단순한 감기로 생각하고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
이렇게 치료를 방치할 경우에는 합병증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우리나라에는 이들 열성 전염병 중 ‘쯔쯔가무시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쯔쯔가무시병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주로 논과 밭일을 하거나 성묘, 등산, 소풍을 가서 진드기 유충에게 물림으로써 이 균에 감염되어 발생하게 된다.
과거에는 주로 10월과 11월 사이 추수기에 농촌주민들에게서 많이 발생했지만, 요새는 레저 활동이 많아져 산이나 들로 나간 행락객들에게서도 많이 발견된다. 시기도 늦가을뿐만 아니라 늦여름부터 초가을 사이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질환은 진드기의 유충이 피부에 붙어 피를 빨아먹은 부위에 가피(딱지)가 동반된 궤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병원체에 감염된 진드기 유충이 덤불이나 숲에서 사람을 물게 되면 약 10~1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병하게 된다. 보통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오한, 심한 두통, 근육통이 발생하며, 목 주위, 사타구니, 겨드랑이 임파선이 붓고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발열이 시작되고 1주일 정도 지나면 암적색의 반점상 구진이 몸통에서 사지로 퍼져나간다. 그 후 수일 내에 사라지지만 대부분은 피부병변에 특징적인 딱지가 생긴다. 또한 요통, 오심과 구토, 허탈감, 식욕감퇴, 기침 및 객담, 복통 등 비특이적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일단 가피가 있는 경우 이 병을 의심할 수 있고, 혈청반응을 통한 항체검사를 통해 감염여부를 최종 진단할 수 있다. 병원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1-2일 내에 증상이 빠르게 호전될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약 2주 동안 발열이 지속된다. 또 감염 경과 후에 면역이 생기게 되나 다른 아형의 균에 대해서는 일시적인 면역만을 얻게 되므로 추후 재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최근에 쯔쯔가무시병으로 사망한 경우를 보면, 처음에는 단순 피부병 또는 감기로 생각하고 입원치료를 거부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그러므로 야외활동 후에 생긴 단순 피부발진도 열이 난다면 반드시 이 병을 의심해보고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현재는 특별한 예방백신은 없지만, 사전에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질병이다. 쯔쯔가무시병 유행지역 및 유행기에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긴팔 옷과 토시, 장화 등으로 가급적 피부노출을 피하고, 진드기 유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기피제를 옷이나 노출된 피부에 발라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