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구·인천 등 6개 광역지자체 사망사고 제로
올해 물놀이 사망자수가 2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의 절반 이하이자 역대 최소치다.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은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물놀이 인명피해 최소화 대책’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 이같은 성과를 얻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매년 150여명 정도를 유지하던 물놀이 사망자수는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이 물놀이 안전대책을 본격 추진한 2009년부터 연평균 60명 수준으로 감소됐다. 특히 올해 사망자가 대폭 줄어든 원인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서울·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등 6개 광역지자체의 경우 단 한 건의 물놀이 사망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외 다른 지자체도 사망사고가 크게 줄었다. 경기도는 2008년 25명이 목숨을 잃었으나 올해는 1건의 사망사고만 발생했고, 강원도는 2008년 32건의 인명사고가 있었으나 올해는 5건으로 줄어들었다.
올해 발생한 물놀이 사망 사고를 분석해보면 방학과 휴가철이 겹치는 7월 16일에서 8월 15일 사이 사고의 95.8%(23명)가 발생했다. 장소별로는 하천 및 계곡에서 70.8%(17명)가 발생했으며, 요일별로는 토·일요일에 62.5%(15명)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별로는 부주의 54.2%(13명), 수영 미숙 29.2%(7명) 등의 순이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그동안 큰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책을 추진한 것이 인명피해 최소화라는 결실을 가져왔다”면서 “앞으로도 물놀이로 인한 사망 사고의 최소화를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은 향후 물놀이 안전수칙 준수, 구명조끼 착용 등과 관련한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는 한편 관계부처와 더욱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올해 대책활동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개선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은 물놀이 사망사고의 예방을 위해 작년에 비해 16억 9천만원이 증액된 20억 9천만원을 지자체에 지원했으며, 총 43,492점의 물놀이 안전시설·장비를 현장에 배치했다.
특히 소방방재청은 전 직원별로 담당지역을 지정, 전년도 대비 298회가 증가한 총 410회의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