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에 고용된 비정규직 가운데 약 1만5,000명이 올해 상반기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
고용노동부는 중앙행정기관 1,000명, 자치단체 1,000명, 공공기관 3,000명, 교육기관 1만여명 등 총 1만4,854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무기계약직 전환은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에 따라 각 기관별로 이뤄진 것으로 당초 예상했던 1만4,436명에 비해 418명이 증가된 수치다.
특히 2년이 지나지 않은 신규사업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이번 전환계획에서 제외돼 있어 내년 이후 전환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기관별로는 한국특허정보원(309명), 인천항보안공사(83명), 창업진흥원(35명), 동해시시설관리공단(27명) 등은 비정규직 전원 또는 거의 대다수를 내년까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석 고용부 공공노사정책관은 “올해 하반기에는 8,000명, 내년에는 4만1,000명을 포함해 앞으로도 약 6만4,000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될 계획이다”라며 “이 같은 노력으로 상시·지속적인 업무에 비정규직을 반복·교체 사용하는 불합리한 관행이 시정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 정기적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조사 등을 실시해 기관별 고용현황을 분석·평가하고, ‘비정규직 대책 TF’를 통해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고용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중앙행정기관 1,000명, 자치단체 1,000명, 공공기관 3,000명, 교육기관 1만여명 등 총 1만4,854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무기계약직 전환은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에 따라 각 기관별로 이뤄진 것으로 당초 예상했던 1만4,436명에 비해 418명이 증가된 수치다.
특히 2년이 지나지 않은 신규사업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이번 전환계획에서 제외돼 있어 내년 이후 전환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기관별로는 한국특허정보원(309명), 인천항보안공사(83명), 창업진흥원(35명), 동해시시설관리공단(27명) 등은 비정규직 전원 또는 거의 대다수를 내년까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석 고용부 공공노사정책관은 “올해 하반기에는 8,000명, 내년에는 4만1,000명을 포함해 앞으로도 약 6만4,000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될 계획이다”라며 “이 같은 노력으로 상시·지속적인 업무에 비정규직을 반복·교체 사용하는 불합리한 관행이 시정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 정기적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조사 등을 실시해 기관별 고용현황을 분석·평가하고, ‘비정규직 대책 TF’를 통해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고용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