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자전거 안전 관련 설문조사 결과 발표
국민들 대다수가 자전거 이용 시, 음주행위, 과속, 야간 라이트 미사용, 안전모 미착용 등을 위험한 행위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9일부터 일주일간 일반인 1,065명과 자전거 동호인 161명을 대상으로 자전거 안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자전거 이용 중 음주, 휴대전화 이용, 야간 라이트 미사용, 과속, 안전모 미착용 등 5대 위험행위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됐다.
그 결과 5대 위험행위 모두 과반수의 국민들이 위험한 것으로 보고 벌금 등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자전거 음주운전의 경우 99%가 위험하다고 답한 가운데, 매우 위험하다고 답한 비율도 82.5%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휴대전화의 경우 97%, 과속은 96%, 야간라이트 미사용은 95%, 안전모 미착용은 87%의 국민들이 위험하다고 답변했다.
이러한 위험행위들에 대한 벌금 등 제재 조치의 필요성 또한 음주(92%)와 휴대전화 사용(80%)에서 높게 나타났다. 라이트미사용(71%)과 과속(65%)에 대해서도 높게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안전모 미착용(56%)은 찬성도가 낮았다.
자전거 동호인 역시 대부분의 위험요인에 대해 95% 이상이 위험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들에 대한 제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70% 이하로 일반인보다 찬성률이 낮았다.
특히 안전모 미착용(70%)에 대해서는 일반인보다 제재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과속(40%)의 제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국민들이 자전거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향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공청회 등 추가적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자전거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