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추석을 맞아 벌초가 한창인 요즘, 예초기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지난 16일 ‘예취기 안전이용수칙’을 발표했다.
농진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예취기 100대 당 사고발생빈도는 0.16건으로, 경운기(0.79건), 트랙터(0.38건)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취기 사고유형을 보면 ‘예취기 칼날이 돌 등에 부딪히면서 부러진 칼날이나 돌이 튀어 다치는 경우’가 58%로 가장 많았다.
또 사고원인의 경우 ‘운전자 부주의’가 50%, ‘운전 미숙’ 및 ‘안전장비 미흡’이 각각 25%로, 모두 인적 요인이었다.
농촌진흥청 재해예방공학과 김병갑 연구관은 “해마다 벌초시기가 되면 예취기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라며 “안전모 등 보호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작업할 곳에 빈병, 깡통, 돌, 벌집 등 위험요인이 없는지 확인한 후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진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예취기 100대 당 사고발생빈도는 0.16건으로, 경운기(0.79건), 트랙터(0.38건)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취기 사고유형을 보면 ‘예취기 칼날이 돌 등에 부딪히면서 부러진 칼날이나 돌이 튀어 다치는 경우’가 58%로 가장 많았다.
또 사고원인의 경우 ‘운전자 부주의’가 50%, ‘운전 미숙’ 및 ‘안전장비 미흡’이 각각 25%로, 모두 인적 요인이었다.
농촌진흥청 재해예방공학과 김병갑 연구관은 “해마다 벌초시기가 되면 예취기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라며 “안전모 등 보호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작업할 곳에 빈병, 깡통, 돌, 벌집 등 위험요인이 없는지 확인한 후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