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굴지의 공업단지가 밀집한 울산 지역의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노력이 남달라 화제다.
울산지검은 지난 20일 울산과 양산지역 기업들이 참여하는 ‘울산 산업재해 예방 협의회’를 설립하고 창립총회를 가졌다.
협의회는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항만, 석유화학공장 등으로 타 지역보다 중대재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감안해 설립됐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울산은 재해자 1,370명(사망자 25명)으로 0.31%의 재해율을, 양산은 재해자 382명(사망자 13명)으로 0.39%의 재해율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국 재해율 0.28%를 상회하는 수치다. 특히 지난해와 비교할 경우 재해율은 다소 감소했지만, 사망자 수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의회는 향후 분기별 1회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상시적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또한 관내 주요 업체 안전보건관리 책임자들과 산재예방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교환하면서 협의회를 꾸려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울산지검의 한 관계자는 “협의회는 사업장의 자율안전의식을 제고하고 산재예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키 위해 설립됐다”라며 “앞으로 울산지역의 산업재해율 감소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지검은 지난 20일 울산과 양산지역 기업들이 참여하는 ‘울산 산업재해 예방 협의회’를 설립하고 창립총회를 가졌다.
협의회는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항만, 석유화학공장 등으로 타 지역보다 중대재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감안해 설립됐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울산은 재해자 1,370명(사망자 25명)으로 0.31%의 재해율을, 양산은 재해자 382명(사망자 13명)으로 0.39%의 재해율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국 재해율 0.28%를 상회하는 수치다. 특히 지난해와 비교할 경우 재해율은 다소 감소했지만, 사망자 수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의회는 향후 분기별 1회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상시적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또한 관내 주요 업체 안전보건관리 책임자들과 산재예방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교환하면서 협의회를 꾸려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울산지검의 한 관계자는 “협의회는 사업장의 자율안전의식을 제고하고 산재예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키 위해 설립됐다”라며 “앞으로 울산지역의 산업재해율 감소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