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안전관련 법제화 필요성에 민·관 모두 공감
자전거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시민단체·연구기관·정부 부처가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열렸다.행정안전부는 한국자전거단체협의회, 안전실천시민연합과 공동으로 지난달 26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자전거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제도개선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약 200명의 자전거 애호가와 일반시민들이 함께 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자전거교통연구센터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교통전문가인 하동익 한국 ITS 학회장, 오수보 자전거21 사무총장, 정부 대표로 김기영 행정안전부 자전거정책과장, 이상로 경찰청 교통안전담당관이 참여한 가운데 토론의 장이 펼쳐졌다.
공청회에서 집중 논의된 것은 자전거 음주운전과 휴대폰 사용이었다. 주제발표를 맡은 신희철 센터장은 음주 등에 대한 규제에 앞서 시민단체 등과의 사회적 합의, 모니터링 및 홍보·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 센터장은 “행안부 조사 결과 음주와 휴대기기 사용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공감하고 있지만, 규제에 대해서는 매우 큰 이견이 존재한다”라며 “자전거 규제와 관련해서는 해외에서도 이견이 있는 만큼 성숙된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토론자들은 현재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 의식이 매우 낮은 상태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 했다. 이런 점에서 법적 제재와 같은 제도 개선과 더불어 지속적인 안전캠페인을 통해 자전거 이용자들의 의식을 개선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자전거 길과 이용자가 급증하는 만큼 안전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져야 한다”며 “자전거를 탈 때 이용자 스스로 위험한 행동을 자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