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자가 신고자나 증인 등을 상대로 저지르는 보복성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현 민주통합당 의원에게 지난 8일 제출한 보복범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발생한 보복범죄는 모두 614건에 달한다.
2008년 87건에 불과하던 보복범죄는 2009년 139건으로 급증한 뒤 2010년 124건, 2011년 122건으로 다소 주춤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 8월말까지 142건이 발생해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2008년 이후 발생한 보복범죄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120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이 114건, 경기가 69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처럼 갈수록 심각해지는 보복범죄는 피의자의 90%가 남성으로 확인됐다. 보복범죄로 인해 상해를 입은 피해자는 총 76명이었다. 이같은 보복범죄는 강력범죄로 이어져 극심한 피해를 몰고 온다.
올해에는 최초로 피해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보복범죄의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난 8월 강원 강릉에서는 10개월 전 차량 접촉사고 처리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리하게 진술한 피해자에 앙심을 품고 그를 보복,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김 의원은 “자신을 신고한 신고자나 증인 또는 피해자에게 앙심을 품고 저지르는 2차 범죄에 해당하는 보복범죄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며 “보복범죄 감소를 위한 경찰의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경찰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현 민주통합당 의원에게 지난 8일 제출한 보복범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발생한 보복범죄는 모두 614건에 달한다.
2008년 87건에 불과하던 보복범죄는 2009년 139건으로 급증한 뒤 2010년 124건, 2011년 122건으로 다소 주춤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 8월말까지 142건이 발생해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2008년 이후 발생한 보복범죄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120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이 114건, 경기가 69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처럼 갈수록 심각해지는 보복범죄는 피의자의 90%가 남성으로 확인됐다. 보복범죄로 인해 상해를 입은 피해자는 총 76명이었다. 이같은 보복범죄는 강력범죄로 이어져 극심한 피해를 몰고 온다.
올해에는 최초로 피해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보복범죄의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난 8월 강원 강릉에서는 10개월 전 차량 접촉사고 처리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리하게 진술한 피해자에 앙심을 품고 그를 보복,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김 의원은 “자신을 신고한 신고자나 증인 또는 피해자에게 앙심을 품고 저지르는 2차 범죄에 해당하는 보복범죄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며 “보복범죄 감소를 위한 경찰의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