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 석 달째 1%대 기록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째 1%대를 기록했다. 폭설과 한파의 영향으로 채소, 과실 등의 신선식품 가격이 껑충 뛰면서 식탁 물가에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지난 1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을 기록,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1.6%를 기록한 이후 12월 1.4%로 3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전년 동기와 전달보다 나란히 0.8%씩 올랐다. 신선식품물가는 기상악화 탓에 채소·과실류 가격이 상승하며 전달보다 6.1%, 1년 전보다 9.3% 올랐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2% 올랐고 전달보다는 0.4%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지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4%로 다섯 달 째 같은 수치를 나타냈다.
부문별 동향을 보면, 한파의 영향으로 각각 전달보다 농산물(5.6%)과 수산물(0.8%)이 올랐고 축산물은 0.5% 하락했다. 석유류는 국제유가의 하락 효과가 반영되면서 휘발유·경유·LPG 모두 전달보다 가격이 동반 하락했다.
이에 따라 정부도 관련 대책회의를 열고 설 명절 물가안정에 적극 나섰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일 청와대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물가 동향, 동절기 채소류 및 가공식품 물가 동향, 개인서비스 요금 동향 등에 대한 관계부처의 보고를 받았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설을 앞두고 범부처적으로 물가 불안요인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면서 “설 명절 물가 안정을 위해 방출한 정부비축 성수품을 국민들이 잘 알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국민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설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불공정 상거래 행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지도 점검을 실시할 것”이라며, “소비자단체 등을 통한 과소비 자제 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