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에너지공기업 안전점검 회의 개최
지식경제부가 에너지공급시설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지난 8일 ‘에너지공기업 안전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관섭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새정부의 국정목표인 ‘국민이 행복한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공공기관이 우선적으로 안전의식을 개선하여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향후 정부 차원에서 직접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안전관리가 미흡한 기관이나 사고가 발생한 기관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한수원, 5개 발전사, 한전,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 관련 공공기관 임원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작년말에 수립한 ‘에너지 시설안전개선대책’의 이행실태와 올해 안전관리 대책 등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안전경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하였고, 협력업체 DB 구축,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경영목표 설정 등 안전관리기반 체제를 조성했다.
한수원, 5개발전사들도 안전관리위원회 구성, 작업전 Safty First 회의 개최, 재난안전조직의 실단위 격상, 안전 Patrol 운영 등을 통해 안전경영 체제를 구축했다고 보고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 지식경제부는 에너지원별로 마련된 안전관리 세부계획을 올 한해 집중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전력은 종합방재센터 운영, 발전소 수명관리 및 계획예방정비 기준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가스는 독성가스 안전관리 세부대책 마련, LP가스 노후용기 사용실태에 대한 지자체별 교차 실태조사 실시, 노후용기 보유 공급업자(충전소, 판매업자) 삼진아웃제 도입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석유는 육안점검에 의존하고 있는 석유 저장탱크에 대한 소방시설 작동점검을 의무화하는 등 법적인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식경제부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2,200여개 독성가스제조·공급시설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해빙기를 맞이하여 전기·가스 검사기관과 합동으로 그동안 검사 등에서 제외되었던 중소도시의 다중집합이용시설, 사고이력시설 등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