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현상도 심각
전국 응급의료기관의 의료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된 반면 지역별 편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대병원 등 일부 대형병원은 응급실 포화상태가 심각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2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복지부가 2011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전국 433개 응급의료기관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급실의 시설·장비·인력이 법정 기준을 모두 충족한 곳은 69.7%(302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58.4%) 동기 대비로 11.3%p가 상승한 수치다. 즉 전국 응급실의 서비스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중증응급질환자의 응급실 재실 시간은 전년 3.7시간에서 지난해 3.5시간으로 0.2시간 단축되는 등 서비스 질과 관련된 12개의 지표 가운데 8개 항목이 향상됐다.
그러나 시·군·구 단위에서 응급진료를 하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의 경우 296곳 중 172곳(58.1%)만이 법정기준을 충족했다. 이 같은 충족률은 지난해(46%)에 비해 수치는 높아졌지만 의사인력(2명에서 1명), 병상(10병상에서 5병상) 등 기준을 완화한 결과로 실질적인 의료서비스는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전남(24.3%), 경남(40%), 충북(50%) 등이 낮은 충족률을 보였다.
7곳 대형병원 병상포화지수 100% 넘어
한편 복지부는 환자들이 응급실에 머무는 시간, 병상 수 등을 기준으로 하는 ‘병상포화지수’도 발표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울대(126%), 전남대(116%), 전북대(107%), 경상대(105%), 경북대(103%), 삼성서울(102%), 인하대(102%) 등 7개 병원 응급실의 병상 포화지수가 100%를 넘었다.
아울러 상계백병원, 길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연세대원주기독병원, 부산대병원, 이대목동병원, 양산부산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도 병상포화지수가 80∼100%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이들 병원의 응급실이 항상 포화상태에 있다는 것으로 자칫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대형병원의 응급실 환자 쏠림 현상은 병원 측이 병상 수를 늘리거나 가벼운 증상의 환자를 인근 병원으로 유도하는 등의 노력을 소홀히 한 요인 외에도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환자들의 경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응급실 병상포화지수가 높은 병원일수록 대기시간이 길어지므로 비응급 환자의 경우 가능한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며 “스마트폰으로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이용하면 가까운 응급실과 진료 대기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총 242억원의 보조금을 응급의료기관별로 차등 지급키로 했다. 또한 법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관에 대해서는 해당 지자체에 시정조치, 지정취소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