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처음으로 또래 남성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산·육아 부담이 커지는 30대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비율이 30대 남성의 60%수준에 그쳤다.
지난 7일 통계청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작년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9%로 20대 남성(62.6%)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참고로 경제활동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인구)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처럼 20대에 여성의 경제활동이 남성보다 더욱 활발해진 것은 학력 등 경쟁력이 강화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남성보다 높은 것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지난 2009년 여성 대학진학률은 82.4%로 남성(81.6%)을 추월한 이후 지난해까지 4년째 역전 현상을 지속해 오고 있다.
또 이전보다 20대 여성의 자기계발 성향이 강해지고 결혼과 출산이 늦어진 것도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그러나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에 크게 못 미쳤다. 지난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6%로 30대 남성(93.3%)보다 37.3%포인트 낮았다. 이는 30대 여성이 20대와는 달리 출산과 육아 등의 문제로 경제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출산·육아로 인한 30대 여성의 경력 단절은 이후에도 계속됐다. 지난해 전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9.9%로 남성(73.3%)보다 23.4%포인트 낮았고, 생산가능인구(15∼64세) 기준으로는 여성 55.2%, 남성 77.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여성의 경력단절은 임금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1년 기준 여성의 월급여액은 154만8천원으로 남성(244만4천원)의 63.3%에 그친 것이다.
이에 여성의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고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출산과 육아 부담으로 30대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급감하고 있다”며 “최소한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90일의 출산휴가를 제대로 사용하고 남성의 육아휴직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7일 통계청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작년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9%로 20대 남성(62.6%)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참고로 경제활동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인구)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처럼 20대에 여성의 경제활동이 남성보다 더욱 활발해진 것은 학력 등 경쟁력이 강화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남성보다 높은 것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지난 2009년 여성 대학진학률은 82.4%로 남성(81.6%)을 추월한 이후 지난해까지 4년째 역전 현상을 지속해 오고 있다.
또 이전보다 20대 여성의 자기계발 성향이 강해지고 결혼과 출산이 늦어진 것도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그러나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에 크게 못 미쳤다. 지난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6%로 30대 남성(93.3%)보다 37.3%포인트 낮았다. 이는 30대 여성이 20대와는 달리 출산과 육아 등의 문제로 경제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출산·육아로 인한 30대 여성의 경력 단절은 이후에도 계속됐다. 지난해 전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9.9%로 남성(73.3%)보다 23.4%포인트 낮았고, 생산가능인구(15∼64세) 기준으로는 여성 55.2%, 남성 77.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여성의 경력단절은 임금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1년 기준 여성의 월급여액은 154만8천원으로 남성(244만4천원)의 63.3%에 그친 것이다.
이에 여성의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고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출산과 육아 부담으로 30대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급감하고 있다”며 “최소한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90일의 출산휴가를 제대로 사용하고 남성의 육아휴직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