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노동단체, 엄격한 법 적용과 근로자 중심 안전관리 요구
산단에 대한 범사회적 공동 안전점검 등 촉구 구미, 청주, 여수 등 주요 국가산업단지에서 각종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실질적인 산단안전대책의 마련을 요구하는 시민 및 노동단체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여수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를 비롯한 민주노총 전남본부, 전남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 21일 여수시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산단 안전사고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대책을 촉구했다.
이날 이들은 “최근 여수산단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는 법과 안전 수칙을 무시한 전형적인 인재사고였기에 지역민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산단이 조성된 40여년에 걸쳐 200여건의 크고 작은 사고로 1,0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그동안 문제해결을 위한 근본적·통합적 안전대책은 없었다”면서 “형식적 산단관리가 아닌 사람과 생명을 우선하는 엄격한 법적용과 근로자 중심의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은 “산단의 본사들은 정규직 축소, 아웃소싱 확대 등으로 대형사고를 부추기지 말고 환경안전 강화와 지역사회 기여 등 사회적 책무 이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이들은 ▲안전사고 발생 회사 대표 및 공장책임자 형사처벌 ▲산단의 중대재난 예방 및 방제업무 전담 기구 운영 ▲재난관리 시스템 관리 권한을 가진 범정부 통합기구 현장 운영 ▲정부의 산단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전수조사 및 대시민공개 ▲산재 전문병원 설립 ▲산단의 범사회적 공동 안전점검 등을 요구했다.
이런 시민사회의 움직임은 최근 반도체 공장에서 염소누출사고가 발생한 청주에서도 나타났다. 지난 23일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은 염소누출사고를 철저히 조사하라고 충북도에 요구했다.
이날 환경련은 성명을 통해 “세계 최고의 종합 반도체회사에서 유해화학물질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은 산단의 부실한 안전관리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면서 “청주산단은 도심 한가운데 있기 때문에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나면 그 피해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아울러 환경련은 “사고가 날 때마다 땜질식 처방으로 일관해서는 대형사고를 막을 수 없다”라며 “충북도와 경찰은 이번 사건을 철저히 조사해 근본대책을 마련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구미시는 최근 산재 재발방지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는 구미국가공단에서 잇따르고 있는 불산·염소 누출, 저유탱크 폭발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날 간담회에선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남유진 구미시장을 비롯한 재해관련 기관장, 화학물질 취급업체 대표 등 90여 명이 참석해 협조체제 구축 및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남유진 구미시장은 “위기를 기회로 삼아 구미시의 명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빈틈 없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