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거나 이를 축소·은폐하려는 태도가 최근 전국의 주요 산업단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달 29일 열린 ‘청주산업단지 화학물질 안전관리방안 토로회’에서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산업단지 유해화학물질 통합적 관리방안’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김 부소장은 “큰 사고를 경험해도 사고가 반복되는 원인은 인재를 천재로 전가해 아무도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태도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책임 전가 방식은 하청을 통해 이뤄진다”면서 “위험 요인이 많을수록 사고의 책임을 분산하기 위해 하청을 이용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소장은 업체의 사고 축소와 은폐시도 역시 끊이지 않는 산단 안전사고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목했다.
김 부소장은 “축소나 은폐는 사고가 난 업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라며 “여기에는 대표적으로 피해 규모에 관한 축소·은폐, 피해 범위에 관한 축소·은폐, 사고 원인에 관한 축소·은폐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일부 기업은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누출량을 줄여서 이야기하거나 피해 범위를 축소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부소장은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 차원에서 유해화학물질의 사고 예방을 위한 전담조직을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직속으로는 ‘사고조사위원회’와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를 만들고, 지방정부 차원에선 민관공동조사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는 게 그 설명이다.
지난달 29일 열린 ‘청주산업단지 화학물질 안전관리방안 토로회’에서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산업단지 유해화학물질 통합적 관리방안’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김 부소장은 “큰 사고를 경험해도 사고가 반복되는 원인은 인재를 천재로 전가해 아무도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태도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책임 전가 방식은 하청을 통해 이뤄진다”면서 “위험 요인이 많을수록 사고의 책임을 분산하기 위해 하청을 이용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소장은 업체의 사고 축소와 은폐시도 역시 끊이지 않는 산단 안전사고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목했다.
김 부소장은 “축소나 은폐는 사고가 난 업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라며 “여기에는 대표적으로 피해 규모에 관한 축소·은폐, 피해 범위에 관한 축소·은폐, 사고 원인에 관한 축소·은폐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일부 기업은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누출량을 줄여서 이야기하거나 피해 범위를 축소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부소장은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 차원에서 유해화학물질의 사고 예방을 위한 전담조직을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직속으로는 ‘사고조사위원회’와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를 만들고, 지방정부 차원에선 민관공동조사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는 게 그 설명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