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병원 건립추진위 발족
각종 화학공장이 밀집해 있는 여수국가산단에 종합방재센터의 설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게 일고 있다. 대형화재 및 폭발사고, 가스누출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른 것이다.
지난 1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중앙정부가 12조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편성한 것에 발맞춰 ‘여수산단 유해화학물질종합방재센터’ 설치를 건의했다. 종합방재센터가 추경에 반영되면 2014년 착공해 2015년 완공이 가능하다.
또 전남도는 산단에서 발생한 응급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화상전문 응급의료센터도 설치할 것을 건의했다.
전남도와 함께 여수시의회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시의회는 지난달 29일 국회, 안전행정부, 기획재정부 등 13개 중앙정부기관에 종합방제센터와 산재전문병원의 설치를 건의했다.
여수시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여수산단에는 246개 공장에서 1만8,000여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고, 연간 90조원의 매출을 올릴 만큼 국가경제의 핵심 기반시설이다”라며 “하지만 설비가 노후됐고 국내 유해화학물질의 30% 이상을 취급하고 있어 ‘움직이는 화약고’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근로자, 시민들이 모두 안전하고 편안하기 위해서는 종합방재센터와 산재전문병원이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동계도 같은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전국 플랜트건설노조 등 노동단체는 지난달 28일 ‘산재병원 건립추진위’를 발족시켰다.
추진위는 “여수국가산단에서 발생한 사고는 그 특성상 화학물질의 폭발과 유해위험물질의 노출에 따른 중대 재해가 대부분”이라며 “촉각을 다투는 응급치료와 수술 등이 필요하지만 산단 인근에 전문병원이 없어 광주까지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는 “최근 발생한 폭발사고는 산재전문병원이 설립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줬다”라며 “산재전문병원 설립은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될 근로자와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