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마스크를 쓰면 공기 중의 세균과 곰팡이를 98% 이상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2010년과 올해 마스크별 세균·곰팡이 차단효과를 실험한 결과 황사마스크의 차단율은 세균 98.5%, 곰팡이 98.8%로, 일반 마스크보다 효과가 우수했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반면 일반 보건마스크는 세균 88%, 곰팡이 83.2%를 차단해 황사마스크에 비해 효과가 떨어졌다. 황사마스크가 미생물 차단 효과가 더 좋은 것은 일반 보건마스크보다 틈이 더 작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미생물은 대기 중 먼지 입자 안에 흡착돼 이동하는데 황사마스크가 미세먼지를 더 잘 거른다는 것이다.
이같은 황사마스크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에 따라 입경 0.04~1㎛의 미세먼지를 80% 이상 제거할 수 있는 제품만 허가하도록 돼 있다.
참고로 황사마스크는 가까운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1회용이기 때문에 세탁하면 착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작년에 황사가 관측된 날은 하루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이달에만 벌써 3번 관찰되는 등 봄철 황사 유입 가능성이 높다”며 “황사가 발생하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황사마스크와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황사 발생시 자세한 시민행동요령은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cleanair.seoul.go.kr)를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2010년과 올해 마스크별 세균·곰팡이 차단효과를 실험한 결과 황사마스크의 차단율은 세균 98.5%, 곰팡이 98.8%로, 일반 마스크보다 효과가 우수했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반면 일반 보건마스크는 세균 88%, 곰팡이 83.2%를 차단해 황사마스크에 비해 효과가 떨어졌다. 황사마스크가 미생물 차단 효과가 더 좋은 것은 일반 보건마스크보다 틈이 더 작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미생물은 대기 중 먼지 입자 안에 흡착돼 이동하는데 황사마스크가 미세먼지를 더 잘 거른다는 것이다.
이같은 황사마스크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에 따라 입경 0.04~1㎛의 미세먼지를 80% 이상 제거할 수 있는 제품만 허가하도록 돼 있다.
참고로 황사마스크는 가까운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1회용이기 때문에 세탁하면 착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작년에 황사가 관측된 날은 하루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이달에만 벌써 3번 관찰되는 등 봄철 황사 유입 가능성이 높다”며 “황사가 발생하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황사마스크와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황사 발생시 자세한 시민행동요령은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cleanair.seoul.go.kr)를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