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지시설 성능점검 및 개선방안 제시
서울시는 환경관리가 취약한 환경오염물질배출업소 170곳에 대해 이달부터 9월까지 현장 맞춤형 기술지원을 실시한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소규모 영세업체, 방지시설 취약업체, 위반이 잦은 문제업체가 해당되며 기술·행정지원 등 종합적인 무료 컨설팅이 진행된다.
시는 체계적인 기술 지원을 위해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의 전문가, 대학교수, 공무원 등 기술지원단을 구성해 현장 맞춤형 기술지도를 실시한다.
이들은 총 170개 사업장을 방문하여 기술지원, 상담지원, 행정지원 등 배출업소에 대한 종합적인 컨설팅을 오는 9월까지 실시할 계획이며, 업종별로는 염색, 병원, 세차 등 수질분야와 도장, 도금, 금속 등 대기분야 배출업소가 해당된다.
주요 지원 사항은 ▲환경오염물질 발생실태 및 성상 분석 ▲방지시설 적정운영 및 관리방법 ▲방지시설의 성능점검 및 노후시설 개선방안 제시 ▲관련법령 설명 등이다.
기술지도 결과 방지시설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당사업장에 시설개선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시설개선 의지가 있는 일부 영세 기업체에 대해서는 개선비용을 일정부분 지원할 예정이다.
김병위 서울시 물재생시설과장은 “최근 3년간 시내 환경오염물질 배출 위반업체 645개소 중 98%인 635개소가 소규모 영세업체였다”면서 “시설 및 기술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업체의 전반적인 환경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배출허용기준 초과, 각종 행정처분 등에 대한 불이익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 중 소규모 영세업체는 단속만이 능사가 아니다”라며 “이번 현장 기술지원으로 생계형 영세업체의 시설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