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명의 사상자를 낸 전주 폐기물공장 폭발사고가 사업장의 안전불감증이 가져온 예견된 인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24일 전북 전주시 여의동의 한 폐기물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 2명이 숨지고 6명이 화상을 입어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현장에는 모두 1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었지만 다행히 2명은 화를 면했다.
현재까지 뚜렷한 폭발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경찰은 화약성분이 묻어있던 폐기물을 주된 요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폐기물 속에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다가 유출되면서 마찰 또는 불씨로 인해 갑자기 폭발했다는 것이 경찰의 설명이다. 그런데 폭발사고 하루 전 두 차례 작은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해당 사업장의 한 관계자는 “사고 발생 하루 전 13시 30분경 폭발이 있었다”며 “원인 파악을 위해 추출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또 한 차례 18시 10분경에 ‘펑’하는 폭발음이 들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두 번째 폭발사고에 소방당국과 경찰이 출동했으나 아무 일 없다는 사업장 관계자의 말만 믿고 모두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장과 경찰 모두 신중히 현장 조사를 했더라면 다음날 발생한 대형사고는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것이다.
허술한 폐기물처리시스템도 도마 위에 올라
한편 이번 폐기물공장 폭발사고와 관련해 허술한 폐기물처리시스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대부분의 폐기물업체는 영세한데다 전문적인 설비와 기술 없이 폐기물을 막무가내로 처리하고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에 상시 노출돼 있다는 것이다.
민주노총 전북본부의 한 관계자는 “폐기물업체가 비용절감과 이윤창출을 위해 폭탄화약포장제를 일반 폐기물로 분류한 것으로 보아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정부가 직접 나서서 폐기물 처리에 대한 제반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