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안전관리 맞춤형 협업시스템 구축해야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가 꼬리를 물고 터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홍원 국무총리가 유해 화학물질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종합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지난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6차 중앙안전관리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위원장인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해 김동연 국무조정실장, 유정복 안전행정부장관, 남상호 소방방재청장 등 23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정홍원 총리는 “현재 진행 중인 ‘전국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빠른 시일 내에 맞춤형 종합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어서 정 총리는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일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라며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은 사전예방”이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의 이번 발언은 올해 들어 불산, 염소 등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새정부가 표방하는 ‘국민행복시대’ 목표를 무색하게 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현재 환경부 등 중앙부처는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전국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을 상대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지난 주에 안전사고가 잇달아 터져 나오자 총리가 종합대책을 서둘러 마련해 달라는 독려를 한 것이다.
참고로 지난 2일 오전 11시 30분께 경기 화성시에 위치한 S화성사업장에서 공급배관 철거 작업을 하던 중 불산액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에 나섰던 협력업체 소속 최모(46)씨 등 3명이 목과 손, 발 등에 화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
또 지난 6일 오전 7시 27분께 경기 시흥시의 J업체에서는 옥외 불산탱크에서 불산용액이 누출됐다. 누출된 불산은 불산탱크(20t)에 보관된 55% 정도의 희석용액 200ℓ 중 100ℓ 가량으로 당시 해당 업체에는 공장동과 사무동에 모두 6명의 직원이 있었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정홍원 총리는 협업 시스템의 중요성도 역설했다.
정 총리는 “재난안전관리는 다른 어떤 정책보다 관련 기관간 긴밀한 공조체제와 국민참여가 요구되는 분야”라며 “재난 유형별로 예방, 대비, 대응, 복구에 이르는 재난관리 전 단계에 걸쳐 맞춤형 협업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