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중증·복합질병 많아, 협진체계 필수적
울산시에 산재 근로자의 치료를 돕는 공공병원과 함께 부속 연구소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통합진보당 울산시당 무상의료위원회는 지난 7일 울산시의회 세미나실에서 ‘진주의료원 문제로 바라본 공공의료 방향과 과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울산대학교병원 양동석 교수는 ‘진주의료원 폐업시도와 울산형 공공병원의 필요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직업성 질환과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고 재활전문병원을 포함하는 종합병원급 공공병원 설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양 교수는 “울산은 우리나라 최대 공업도시로서 각종 폭발사고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응급환자들이 적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공공병원 성격의 병원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근로자 건강검진과 직업병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부속연구소도 함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현재 울산에는 동구에 위치한 울산대학병원을 제외하고 이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종합병원급 의료원이 전무하다. 일부 의료진이 이 같은 병원을 운영하려 해도 경영상 적자 문제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 기본적인 의료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것도 문제다. 울산은 의사(67.6%), 간호사(84%)의 수가 광역시 중 최저인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인구 1,000명당 허가병상 수(7.5개)도 전국 평균(8.8개)에 미달된다. 또 중증 및 복합질병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은 4개 병원의 2,000개 병상뿐이다.
이처럼 경제규모와 인구수에 적합하지 않는 의료 인프라 때문에 울산 지역 환자 중 상당수는 인근 지역에서 진료를 받아야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교수는 “중대 산재환자에게 시간은 곧 생명”이라며 “조금만 지체돼도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는 만큼 산업현장과 가까운 곳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방정부의 책임이다”고 말했다.
이어서는 “울산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가 중증 및 복합 질병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환자 예후 결정은 초기에 좌우되므로 여러 과와의 협진체계가 필수적이다”라며 “이런 역할은 공공병원 부속 재활병원을 통해 수행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