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재난위험에 노출된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대한 환경개선에 나선다.
서울시는 재난위험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 7개구의 16개 지역에 대해 ‘저소득층 밀집지역 생활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대상 지역은 △구로구 △동작구 △중랑구 △금천구 △종로구 △마포구 △양천구 등 7개 자치구다. 이들 지역은 지난 3월 자치구 공모로 접수된 주민들의 사업기획안을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심사해 결정됐다.
총 10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생활기반시설 정비 △재난위험시설 D·E등급 10개소 정비 △보행안전시설 조성 등을 골자로 진행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는 우선 사회적 약자계층 밀집지역 16개소를 대상으로 옹벽, 담장, 계단 등 생활기반시설을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16개 지역 중 재난위험시설 D·E등급을 받아 정비가 시급한 위험시설 10개소에 대해서는 응급안전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참고로 현재 서울시 소재 민간소유 재난위험시설은 D급 178개소, E급 27개소 등 총 205개소에 달한다. 이번에 응급안전조치가 이뤄지는 10개소는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정비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곳이다.
한편 시는 구로시장 일부 지역의 경우 10년 이상 방치된 폐점포 등이 남아있어 화재에 취약하고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철구조물 및 석면지붕을 철거하기로 했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안전실장은 “노후기반시설 및 재해위험요소를 개선함으로써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재난위험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 7개구의 16개 지역에 대해 ‘저소득층 밀집지역 생활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대상 지역은 △구로구 △동작구 △중랑구 △금천구 △종로구 △마포구 △양천구 등 7개 자치구다. 이들 지역은 지난 3월 자치구 공모로 접수된 주민들의 사업기획안을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심사해 결정됐다.
총 10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생활기반시설 정비 △재난위험시설 D·E등급 10개소 정비 △보행안전시설 조성 등을 골자로 진행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는 우선 사회적 약자계층 밀집지역 16개소를 대상으로 옹벽, 담장, 계단 등 생활기반시설을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16개 지역 중 재난위험시설 D·E등급을 받아 정비가 시급한 위험시설 10개소에 대해서는 응급안전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참고로 현재 서울시 소재 민간소유 재난위험시설은 D급 178개소, E급 27개소 등 총 205개소에 달한다. 이번에 응급안전조치가 이뤄지는 10개소는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정비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곳이다.
한편 시는 구로시장 일부 지역의 경우 10년 이상 방치된 폐점포 등이 남아있어 화재에 취약하고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철구조물 및 석면지붕을 철거하기로 했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안전실장은 “노후기반시설 및 재해위험요소를 개선함으로써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