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 2만2,907건을 분석한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가정 내 사고가 65.7%를 차지해 발생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교육시설(7.9%), 여가·문화놀이 시설(7%), 상업 시설(5%), 교통 시설(3%), 스포츠·레저 시설(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만 1∼3세(49.3%)가 사고 발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만 4∼6세(21.7%), 만 7∼14세(20.6), 만 1세 미만(8.4%) 순이었다. 특히 만 1세 미만과 만 1∼3세는 가정 내에서, 만 4∼6세는 여가·문화놀이 시설, 만 7∼14세는 교육시설에서 사고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가정 내 어린이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서리가 뾰족한 가구는 보호대를 씌우거나 완충 장치를 구비하고, 야외에서 스케이트 보드나 자전거 등을 탈 때에는 보호 장구를 꼭 착용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 2만2,907건을 분석한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가정 내 사고가 65.7%를 차지해 발생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교육시설(7.9%), 여가·문화놀이 시설(7%), 상업 시설(5%), 교통 시설(3%), 스포츠·레저 시설(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만 1∼3세(49.3%)가 사고 발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만 4∼6세(21.7%), 만 7∼14세(20.6), 만 1세 미만(8.4%) 순이었다. 특히 만 1세 미만과 만 1∼3세는 가정 내에서, 만 4∼6세는 여가·문화놀이 시설, 만 7∼14세는 교육시설에서 사고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가정 내 어린이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서리가 뾰족한 가구는 보호대를 씌우거나 완충 장치를 구비하고, 야외에서 스케이트 보드나 자전거 등을 탈 때에는 보호 장구를 꼭 착용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