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불황형 흑자’ 역대 최고 기록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증가율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지난 24일 발표한 ‘2013년 1분기 가계동향’을 살펴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54만3,000원으로 지난해 1분기의 256만8,000원보다 2만5,000원(1%) 줄었다. 가계소비 지출이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1분기(-3.6%) 이후 처음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19만3,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하지만 이 또한 2009년 3분기(-0.8%) 이후 최저 증가폭이다. 물가상승분을 제외하면 사실상 소득은 0.3% 늘었고 소비는 2.4%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가계 소비지출이 크게 줄어든 것은 경기침체가 장기화되자 불확실성에 대비해 씀씀이 줄이기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지출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교육분야에서는 무상교육 실시 등의 이유로 정규교육(-16.5%) 부문의 지출이 크게 줄었고, 복지시설 이용비 등이 포함된 기타상품·서비스(-12.3%)부분의 지출도 축소됐다. 또 가구·조명, 가전·가정용기기 등 경기변동에 민감한 내구재가 포함된 가정용품·가사서비스도 0.5% 하락했다. 다만 주류(10.1%)와 사회보험(6.6%), 연금(5.9%)지출은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렇게 돈을 적게 쓰다 보니 가계의 흑자 규모는 크게 증가했다. 실제로 1분기 처분가능소득에서 흑자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25%로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또 저축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액도 84만8,000원을 기록, 1년 전보다 10.8%나 늘어났다. 하지만 이는 소비 위축 현상에 따른 ‘불황형 흑자’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가계소득과 지출의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흑자액 증가로 소비 여력이 커졌다”며 “추가경정예산이나 금리 인하와 같은 정책의 효과가 가시화되는 하반기 이후에는 소비·지출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