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대학교 실험실에 대한 전방위적인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본부장 권순경)는 5월 30일부터 7월 19일까지 서울시 소재 31개 대학 2,404개의 실험실에 대한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소방안전대책은 안전점검, 실험실 환경정비 개선, 위험물 취급용기 표시 부착, 관계자 교육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안전점검은 실험실 내 소화기, 옥내소화전 등 소화설비와 비상경보설비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며 인화성물질 보관용기 사용 및 가스시설 관리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위험물 저장·취급 기준 및 실험시약 반·출입 등 관리 상태도 점검한다.
점검을 통해 본부는 지정수량 미만의 위험물 취급 시 안전캐비닛 보관, 불연재료 선반 사용, 정전기 제거장치 사용 등을 적극 권장하고 취급용기에 품명, 위험등급, 수량, 주의사항 등을 기록토록 지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학교와 소방서간 소방안전협의회를 운영, 사고대응 매뉴얼을 수립하는 한편 대학교 실험실 관계자들에 대한 안전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본부는 이번 안전점검에서 위반사항이 적발된 대학교는 사안에 따라 입건 또는 과태료 부과 및 조치(시정보완)명령을 발부하고, 위반 정도가 경미한 사안에 대해서는 현지시정을 통해 자율적인 화재예방을 유도할 방침이 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의 한 관계자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활동을 펼쳐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화재사고를 예방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3년(2010~2012년)동안 서울에서는 13건의 대학교 실험실 화재가 발생하여 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8천여 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본부장 권순경)는 5월 30일부터 7월 19일까지 서울시 소재 31개 대학 2,404개의 실험실에 대한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소방안전대책은 안전점검, 실험실 환경정비 개선, 위험물 취급용기 표시 부착, 관계자 교육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안전점검은 실험실 내 소화기, 옥내소화전 등 소화설비와 비상경보설비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며 인화성물질 보관용기 사용 및 가스시설 관리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위험물 저장·취급 기준 및 실험시약 반·출입 등 관리 상태도 점검한다.
점검을 통해 본부는 지정수량 미만의 위험물 취급 시 안전캐비닛 보관, 불연재료 선반 사용, 정전기 제거장치 사용 등을 적극 권장하고 취급용기에 품명, 위험등급, 수량, 주의사항 등을 기록토록 지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학교와 소방서간 소방안전협의회를 운영, 사고대응 매뉴얼을 수립하는 한편 대학교 실험실 관계자들에 대한 안전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본부는 이번 안전점검에서 위반사항이 적발된 대학교는 사안에 따라 입건 또는 과태료 부과 및 조치(시정보완)명령을 발부하고, 위반 정도가 경미한 사안에 대해서는 현지시정을 통해 자율적인 화재예방을 유도할 방침이 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의 한 관계자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활동을 펼쳐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화재사고를 예방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3년(2010~2012년)동안 서울에서는 13건의 대학교 실험실 화재가 발생하여 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8천여 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