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및 부산지역 사업장 관리상태 가장 부실

바닥면 방수 균열, 시설 부식 등 노후화 심각
국내 유독물 취급업체 10곳 중 4곳은 화학사고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무조정실과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등은 지난 3월 19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국 유독물 취급사업장 3,846개소에 대해 전수조사한 결과를 지난 17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 조사업체 3,846개소 중 42%(1,620개)에서 화학사고 위험에 취약한 사항이 1건 이상 발견됐다.
특히 이들 업체는 내구성이 취약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누출차단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는 등 취급시설에 대한 안전성이 미흡한 경우가 많았다. 이와 함께 소화기 등 방제장비를 구비하지 않거나 비상연락망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지 않는 등 사고발생시 대비 태세도 부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중소규모 화학물질 취급업체가 밀집한 수도권과 부산 외곽 지역 사업장들의 관리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산업단지별 비교 분석 결과,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산단 중 중소규모 사업장 위주로 구성된 반월·시화산단의 관리가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산단 입주 업체들은 다른 산단에 비해 바닥면 방수 균열이나 시설 부식 등 노후화가 심각했으며 방지턱, 누출차단시설 설치 등 시설 관련 항목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화학물질을 ‘직접 생산’하는 업체보다 제품 생산을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업체가 화학사고에 더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체 규모별 관리실태 비교에서는 화학물질을 소량 취급하는 중소규모 업체들이 대형 업체보다 관리상태가 더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어 기업 규모에 따른 안전관리의 수준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전수조사 과정에서 지적된 사항들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하도록 지도하거나 추후 개선하도록 계도하는 등 현장의 관리실태에 대한 개선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 6월말 발표
유독물 취급사업장 전수조사 결과 중소규모 업체의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나자 그 후속조치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최근 인천 주안 국가산단을 방문해 기업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중소규모 업체의 화학물질 안전관리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화학물질을 소량 취급하는 중소규모 업체와 공정에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업체들의 현장 관리상의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수렴하고 개선대책을 함께 모색했다.
한편 환경부는 전수조사 결과와 현장 의견수렴 결과 등을 토대로 중소규모 업체의 안전관리 책임 이행을 위한 정부의 지원대책 등을 담은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6월말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