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부터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 집중 모니터링
안산·시흥 지역 협력업체의 안전보건관리 수준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안산고용노동지청(지청장 김순림)은 지난 12일부터 대기업이 협력업체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에 대해 집중 점검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반월 및 시화공단에 입주한 제조업, 대형유통업, 전기업, 통신업 등 27개 대기업이 협력업체에 대해 지원하는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이번 점검 결과에 따라 안산지청은 협력업체에 대한 위험성 평가, 기술 및 예산지원 활동이 형식적이거나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대기업에 대해서는 승인을 취소하기로 했다. 또한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이 일부 담당자 또는 외부기관에 의존해 추진되는지, 비정기적 작업 및 유해위험요인 분야의 위험성평가의 수행 여부도 평가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산업안전보건법 전반에 걸쳐 감독을 실시한 후 위험요인을 발굴,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참고로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은 대기업이 상대적으로 안전관리가 취약한 사내·외 협력업체들의 재해예방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을 말한다.
사실 협력업체는 대기업으로부터 유해위험이 높은 작업공정과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분담하는 경우가 많고, 재정과 전문인력이 부족해 실질적인 재해예방활동이 활성화되기 어렵다.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을 전개돼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특히 최근 빈발하는 화학물질 누출사고의 대부분이 소규모 협력업체에서 발생하고 있어, 대기업의 협력업체에 대한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 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이 필요한 실정이다.
김순림 고용부 안산지청장은 “대기업의 안전보건 공생협력 지원은 협력업체를 관리·통제의 대상이 아닌 한 가족으로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된다”며 “대기업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지원이 아닌 협력업체들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안전관리 기술과 최신 안전보건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