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절반 가량이 전공과는 무관한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C사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44.6%에 달하는 직장인이 전공을 살리지 않고 취업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전공계열의 취업난이 극심해서’가 30.8%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전공으로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뚜렷하지 않아서’(25.3%), ‘전공이 하고 싶은 분야와 달라서’(22.3%), ‘전공에 소질이 없어서’(16.5%) 등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공과 무관한 취업을 한 직장인들의 37%는 ‘인문계열’ 전공자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서는 ‘공과계열’(25.5%), ‘자연과학계열’(10.3%), ‘경영계열’(9.8%), ‘사회과학계열’(9.2%), ‘법과계열’(3.8%), ‘미술계열’(2.7%), ‘생활과학계열’(1.1%), ‘음악계열’(0.5%)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전공과 연계된 취업을 포기한 것은 언제일까? 63%의 응답자는 ‘구직 활동을 시작한 뒤’라고 대답했고 ‘대학교 1~3학년’ 23.9%, ‘대학교 4학년’ 13% 등이었다.
취업포털 C사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44.6%에 달하는 직장인이 전공을 살리지 않고 취업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전공계열의 취업난이 극심해서’가 30.8%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전공으로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뚜렷하지 않아서’(25.3%), ‘전공이 하고 싶은 분야와 달라서’(22.3%), ‘전공에 소질이 없어서’(16.5%) 등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공과 무관한 취업을 한 직장인들의 37%는 ‘인문계열’ 전공자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서는 ‘공과계열’(25.5%), ‘자연과학계열’(10.3%), ‘경영계열’(9.8%), ‘사회과학계열’(9.2%), ‘법과계열’(3.8%), ‘미술계열’(2.7%), ‘생활과학계열’(1.1%), ‘음악계열’(0.5%)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전공과 연계된 취업을 포기한 것은 언제일까? 63%의 응답자는 ‘구직 활동을 시작한 뒤’라고 대답했고 ‘대학교 1~3학년’ 23.9%, ‘대학교 4학년’ 13% 등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