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예방에서 사후관리까지 단계별 맞춤형서비스 지원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이들 미디어에 대한 국민들의 중독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지난 13일 발표한 ‘2012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터넷 중독률은 7.2%로 2011년(7.7%) 대비 0.5%p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유아동 7.3%, 청소년 10.7%, 성인 6% 등으로 청소년들이 중독률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인터넷 이용자들의 1일 평균 사용시간은 2.2시간인데 반해 중독자들의 이용시간은 2.6시간, 이 중 고위험군은 3.2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형태별로는 일반인들은 메신저(49.2%)를 주로 사용했으나, 인터넷 중독자의 경우 온라인게임(61.3%)이 주용도로 사용됐다.
한편 만 10세 이상 49세 이하 스마트폰 사용자 1만6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스마트폰 중독률은 11.1%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8.4%)에 비해 2.7%가 상승한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10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18.4%로 성인(9.1%)의 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자의 인터넷 중독률(7.6%)은 비이용자(6.3%) 보다 1.3%p 높은 것으로 집계돼 스마트미디어 이용에 따른 인터넷중독의 위험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기기가 확산되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는 등 IT환경이 급변하면서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중독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방통위에 따르면 6세부터 16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들의 스마트기기 보유율은 2011년 21.4%에서 지난해 64.5%로 3배 넘게 증가했다.
이와 같이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자 정부는 지난 2010년 수립한 ‘제1차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 계획’의 성과를 토대로 ‘제2차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 계획’을 수립했다.
오는 2015년까지 전개되는 이 종합계획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전 생애에 걸쳐 예방에서 상담, 치료, 사후관리까지 단계별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방교육 의무화(Compulsory prevention) ▲맞춤형 전문상담(Healing) ▲전문치료(Aid) ▲사후관리(Needs evaluation) ▲협력체계 활성화(Governance) ▲통합기반 조성(Environment) 등 6대 영역(C-H-A-N-G-E)에서 총 52개 정책과제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이번 종합계획을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법무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8개 부처가 공동 협력해 추진하는 가운데 지자체, 관련 유관기관까지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대한 사전 발굴 및 예방·상담 강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종합계획 추진을 통해 인터넷 이용자의 이용 조절능력을 배양하고 회복기능을 촉진해 향후 건강한 인터넷 및 스마트미디어 사용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