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도로 정보 조사·분석, 위험지점 파악
첨단 조사 장비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해 도로안전시설 등을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국토교통부는 자동으로 도로 정보를 조사·분석해 도면화하고 도로의 안전시설 등을 점검할 수 있는 기술을 교통신기술 제16호로 지정했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기존에는 사람이 현장에서 도로의 형상을 직접 계측하고 사진을 촬영하면서 안전점검을 했지만, 이번 신기술을 적용하면 주행 차량의 경로와 카메라, 레이저 등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해 잠재적으로 도로의 위험한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번 신기술은 국토부 교통물류연구의 일환으로 지난 2010년부터 작년까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5개 기관에 의해 개발됐다.
각 기관들이 국도 3호선 문경대로~김천로 등 28개 노선 1700㎞에 대해 안전점검을 시행한 후 도로·교통안전시설의 문제점(569건)을 발견, 개선안을 도출한 것을 토대로 신기술 연구에 착수한 것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교통안전공단이나 도로관리청 등에서 첨단 차량을 활용하면 인력 투입이 기존보다 매우 적으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신기술은 2010년 4월 교통신기술 지정·보호제도가 시행된 이래 지정된 것으로 보호 기간은 5년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