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온도에서도 변성 없어, 액체 전해질 대체 기대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쓰이는 리튬이온 전지의 안전성과 성능이 높은 젤리형 리튬이차전지 전해질을 개발했다. 지난달 2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송현곤 교수팀과 박노정 교수팀은 리튬이온이 기존 액체 전해질보다 1.5배 이상 빠르게 움직이는 젤리 전해질을 개발했다.
리튬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은 리튬이온이 빠르게 움직이는 장점이 있었지만 전해질이 전지 밖으로 흘러나올 가능성 때문에 안전에 문제가 많았다.
그러나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젤리 전해질은 젤리 형태임에도 이온의 이동속도가 빨라서 전지의 성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개선해준다.
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젤리 형태로 얽혀있는 고분자 실을 따라 리튬이온이 빠르게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했다”며 “이는 높은 온도에서도 변성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하게 오래 쓸 수 있어 액체 전해질을 대체해 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송 교수팀 등의 연구성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5월 29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