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젠, 톨루엔, 노말헥산 등 다량 검출

근로자 대부분 보호구 없이 작업
중소영세 인쇄·제화업종의 근로자들이 벤젠 등 유해화학물질에 사실상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심상정 의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일과 건강 등은 지난 1일 국회에서 ‘인쇄·제화 화학물질 노출실태와 대책마련을 위한 한일심포지엄’을 열고 국내 인쇄·제화업종의 안전관리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해 말 2개월에 걸쳐 성동지역의 인쇄제화업종을 중심으로 세척제 노출실태를 분석조사한데 이어 올해 3월부터는 작업장공기 중 평가, 건강증상 설문조사 등의 2차 분석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인쇄·제화업종의 상당수 작업현장에서 1급 발암성 물질인 벤젠과 신경독성 물질인 톨루엔(Toluene), 하반신 마비를 일으키는 노말헥산이 다량 검출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서울 성수동, 을지로 소재 23개 인쇄제화사업장에서 만든 51개 제품 중 37개 제품에서 벤젠이 검출됐으며, 33개 제품에서 톨루엔이, 22개 제품에서 노말헥산이 검출됐다. 평균 검출률은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안전설비 설치 실태 매우 부실
더욱 심각한 것은 환기시설과 보호구실태 조사결과다. 23개 사업장 중 국소배기장치가 설치된 곳이 전무했고, 겨우 창문이나 팬 정도가 있는 사업장이 17곳이었다. 유독성물질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해주는 최소한의 장비인 호흡보호구 착용율 또한 8%에 그쳤다.
그저 과반이 조금 넘는 58%의 근로자만이 장갑을 착용하고 있었다. 게다가 아무 보호구도 착용하지 않고 일하는 근로자도 34%나 차지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대부분 사업장이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았고, 근로자들의 호흡보호구 착용율 또한 매우 저조했다”면서 “정부가 나서서 세척액 성분과 제품의 유통, 사업장별 사용실태를 시급히 조사하고,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일본 관서 노동자안전센터의 가타오까 아끼히코 씨와 전국안전센터연락회의의 후루야 수기오가 참석해 각각 일본 인쇄업 담관암발생과 대책사업, 일본 화학물질관리실태와 활동방향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다.
일본은 최근 인쇄업종에서 담관암 환자가 급증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일 양국의 전문가들은 인쇄업종의 위험성에 대한 한일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동으로 활동방향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