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정부 차원에서 국가산단 3곳에 설립 추진
여수국가산업단지 안에 ‘화학물질 종합방재센터’가 국가기구로 설치될 전망이다. 전라남도는 지난 3월에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D산업 여수공장 폭발사고 이후 방재센터를 설치해 줄 것을 건의한 바 있다.
전남도는 환경부가 이와 같은 의견에 대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전담조직과 성격이 중복된다는 회신을 해왔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현재 방재센터 설치는 정부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전남도의 국비지원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당초 환경부는 여수와 울산, 대산 등 3곳의 국가산단 가운데 한 곳에만 방재센터를 설치하려 했으나 현재는 이들 산단 모두에 센터를 건립할 계획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연이어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사고로 방재센터 설치 요구가 빗발치자 정책 방향을 재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전남도는 15년 전부터 여수 방재센터의 설립을 추진해 왔다. 여수산단에 입주한 220여개 기업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여수시는 지난 1996년 처음으로 국가종합방제센터 건립을 정부에 건의한 것이다.
이후 지난 4월 전남도는 여수산단 내 유해화학물질 감시·예측시스템, 악취 분석 장비, 상황실 등을 갖춘 종합방재센터의 설치를 위해 국비 162억원을 요구했다. 또한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역시 지난 3월 최고위원 회의에서 여수산업단지 내 화학유해물질 종합방재센터가 없다며 설치 검토를 주문하기도 했다.
한편 전남도가 방재센터와 함께 정부에 건의했던 화상전문응급센터 건립은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전남도는 여수와 광양지역 산업단지의 폭발 사고 등으로 인한 화상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해 화상전문응급의료센터의 설립을 추진했었다. 전남도는 이 센터에 피부과와 성형외과 등 화상전문의 5명과 간호사 15명, 응급구조사 6명 등 총 26명을 배치해 운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정부는 “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는데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전남 동부권 내에는 화상 환자 수요가 많지 않다”라며 “화상전문 의료기관을 설립하는 것은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돼야 할 것”이라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