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창 파손은 유리 자체보다 새시 성능에 크게 좌우
태풍 등 강풍이 불 때는 테이프를 창문에 X자로 붙이는 것보다 창틀 등 가장자리에 붙이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강풍에 의한 유리창 파손 실험결과, 유리창 파손은 창틀과 유리 사이가 벌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유리 보다는 새시(sash)의 성능에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연구원은 큰 태풍과 맞먹는 위력인 풍속 50m/s 강풍기를 이용해 유리창 파손 실험 등을 실시했다. 실험결과 젖은 신문지의 경우 마르지 않도록 계속 물을 뿌려야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테이프를 창문에 X자 형태로 붙이는 것은 효과가 크지 않았다. 특히 새시 자체의 강도가 약하거나 창틀과 유리창 사이에 이격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 예방법에 의한 효과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규격 노후 창호는 즉시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이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또한 유리창이 깨지면서 생긴 파편에 의해 인명, 재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창에 안전필름을 부착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태풍 등 강풍대비 국민행동요령’이 담긴 홍보 동영상을 제작해 지난 10일부터 배포했다. 이번 동영상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407개 기관에 배포되고,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쉽게 다운받을 수 있다.
동영상에는 테이프를 창문틀이나 가장자리에 붙이는 요령 외에도 태풍 등 강풍에 대비해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다양한 행동 요령이 담겨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