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대구·경북지역 재해자 수 감소했지만 사망자 늘어
대구고용노동청이 관내 사업장에 대한 행정지도를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대구청은 고열작업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들에게 적정한 휴식과 음료가 제공됐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한편 온·습도 조절장치를 설치토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안전보건공단과 공동으로 질식사고 위험이 높은 정화조 청소대행업체 및 폐수처리시설 보유업체 등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산소농도측정기, 공기호흡기 등 안전장비의 대여를 원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해당 장비를 무상으로 대여할 예정이다.
이번 행정지도는 혹서기를 맞아 폭염과 밀폐공간에서 사망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라 시행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사망재해를 예방하자는 취지도 있다.
대구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구·경북지역의 사고성 재해자는 총 3,939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55명(1.4%) 감소했다.
업종별 재해자수는 제조업이 1,45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67명(11.5%)이 줄어들었다. 다만 건설업 재해자는 922명으로 5명(0.5%)이 늘었으며, 기타 업종의 재해자 역시 1,492명으로 107명(7.2%)이 증가했다.
문제는 사망재해다. 전년 상반기(49명)에 비해 5명이 늘어난 54명이 산업재해로 사망한 것이다. 업종별 사망자수는 건설업 26명(4명 증가), 제조업 15명(1명 증가), 기타업종 13명(동일) 순으로 조사됐다.
장화익 대구고용노동청장은 “앞으로도 대구·경북지역에는 폭염과 폭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구고용노동청은 근로자 안전 확보를 위해 각종 사업장을 대상으로 행정지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