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안전관리체계 확산에 기여
미래창조과학부는 연구실에서 자율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이 정착되도록 유도 지원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는 정부가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 설치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관리 표준모델의 발굴·확산 등을 위해 안전관리 수준 및 활동이 우수한 연구실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즉 그동안 정부주도의 규제지향적 정책에서 벗어난 것이 이번 시범사업의 특징이다.
우수연구실 인증은 해당 연구실의 안전환경 시스템 및 안전환경 활동 수준 등 27개 항목에 대한 서류심사와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인증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결정된다.
우수연구실로 인증되면 미래부 장관 명의의 우수연구실 인증서와 인증마크가 부여된다. 다만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모니터링·사후심사를 통해 인증상태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인증 효력이 정지된다.
미래부는 이번 시범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인증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참여 연구실을 중심으로 워크숍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컨설팅·기술지도 등을 실시해 인증심사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시범사업에 대한 대학·연구기관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무상으로 인증심사를 실시키로 했다.
미래부는 인증심사에 통과한 기관에 대해서는 11월 개최되는 ‘연구실 안전주간행사’에서 인증서를 수여할 계획이다.
한편 올해 인증을 원하는 기관은 내달 16일까지 교육시설재난공제회 연구환경안전사업단에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을 보완해 내년도 시범사업 추진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2016년 인증제의 본격 시행을 목표로 인증기준·절차 및 제도 보완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