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부처별로 따로 관리되던 산사태·홍수 등 재해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소방방재청, 산림청은 지난 24일 ‘도시방재 데이터베이스(DB) 연계 협의회’를 구성하고 각 부처에서 관리하는 산사태 위험지역, 홍수 위험지역 등 재해정보를 국토부가 관리하는 도시계획정보시스템(UPIS, www.upis.go.kr)과 연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도시계획 수립시에는 필요한 재해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 부처의 개별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정보 보유기관에 직접 요청해야 하는 등 불편이 컸다.
그러나 앞으로는 도시계획정보시스템에만 접속하면 각종 재해 위험지역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종합적인 도시방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반 시민들도 도시계획정보시스템에 접속해 거주하는 동네의 재해위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현재까지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을 구축한 지자체가 많지 않고, 기능도 제한적이어서 즉각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관련 부처에서는 향후 △시스템 구축 지자체 확대 △기능 및 제공서비스 보강 △기관 간 시스템 연계 등의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박민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이르면 내년 초부터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을 통해 모든 재난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토교통부와 소방방재청, 산림청은 지난 24일 ‘도시방재 데이터베이스(DB) 연계 협의회’를 구성하고 각 부처에서 관리하는 산사태 위험지역, 홍수 위험지역 등 재해정보를 국토부가 관리하는 도시계획정보시스템(UPIS, www.upis.go.kr)과 연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도시계획 수립시에는 필요한 재해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 부처의 개별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정보 보유기관에 직접 요청해야 하는 등 불편이 컸다.
그러나 앞으로는 도시계획정보시스템에만 접속하면 각종 재해 위험지역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종합적인 도시방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반 시민들도 도시계획정보시스템에 접속해 거주하는 동네의 재해위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현재까지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을 구축한 지자체가 많지 않고, 기능도 제한적이어서 즉각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관련 부처에서는 향후 △시스템 구축 지자체 확대 △기능 및 제공서비스 보강 △기관 간 시스템 연계 등의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박민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이르면 내년 초부터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을 통해 모든 재난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