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가운데 7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권고하는 일주일 운동량(유산소 운동 30분 이상 5차례, 무산소 운동 20분 이상 3차례)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856명을 대상으로 ‘운동부족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73.7%에 달하는 직장인이 ‘운동부족’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들의 일주일 평균 운동횟수는 ‘1.6회’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운동을 아예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직장인이 36.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서는 ‘1회’라고 응답한 직장인이 20.6%, ‘2회’라고 답한 직장인은 16.4% 등으로 나타났다. 즉 권고량(무산소 운동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응답자가 전체의 73.7%에 달했던 것이다.
아울러 현재 자신이 운동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직장인은 전체의 91.3%로 조사됐다. ‘운동부족’이라는 것을 느끼는 순간으로는 ‘쉽게 피로해질 때’(32.3%), ‘살이 찐 것을 느꼈을 때’(30.3%), ‘조금만 걸어도 힘이 들 때’(20.4%), ‘운동신경이 떨어진 것을 느꼈을 때’(12.4%), ‘숙취가 계속 남을 때’(4.3%)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직장인이 운동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의 35.7%는 ‘과다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을 꼽았다. 이어 ‘귀찮아서’가 23.6%를 차지하였으며 ‘경제적인 여유 부족’(14.5%), ‘운동이 다음 날 업무 진행에 지장을 줄까 봐’(14%), ‘함께 운동할 사람이 없어서’(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이 가장 많이 하는 운동은 ‘조깅·사이클 등 유산소 운동’이었으며 주로 운동을 하는 시간은 ‘퇴근 후’(48.3%)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전국의 남녀 직장인 856명을 대상으로 ‘운동부족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73.7%에 달하는 직장인이 ‘운동부족’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들의 일주일 평균 운동횟수는 ‘1.6회’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운동을 아예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직장인이 36.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서는 ‘1회’라고 응답한 직장인이 20.6%, ‘2회’라고 답한 직장인은 16.4% 등으로 나타났다. 즉 권고량(무산소 운동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응답자가 전체의 73.7%에 달했던 것이다.
아울러 현재 자신이 운동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직장인은 전체의 91.3%로 조사됐다. ‘운동부족’이라는 것을 느끼는 순간으로는 ‘쉽게 피로해질 때’(32.3%), ‘살이 찐 것을 느꼈을 때’(30.3%), ‘조금만 걸어도 힘이 들 때’(20.4%), ‘운동신경이 떨어진 것을 느꼈을 때’(12.4%), ‘숙취가 계속 남을 때’(4.3%)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직장인이 운동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의 35.7%는 ‘과다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을 꼽았다. 이어 ‘귀찮아서’가 23.6%를 차지하였으며 ‘경제적인 여유 부족’(14.5%), ‘운동이 다음 날 업무 진행에 지장을 줄까 봐’(14%), ‘함께 운동할 사람이 없어서’(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이 가장 많이 하는 운동은 ‘조깅·사이클 등 유산소 운동’이었으며 주로 운동을 하는 시간은 ‘퇴근 후’(48.3%)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