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난달 7일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샌프란시스코공항 착륙사고를 계기로 우리나라 항공안전 전반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항공안전위원회’를 발족한다고 최근 밝혔다.
항공안전위원회는 항공전문가 외에 언론, 시민단체, 심리학계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19명(위원장 이동호 서울대 교수)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세부적으로는 안전총괄분과, 운항분과, 정비·기술분과, 시설·관제분과 등 4개 분과에 실무위원 27명을 포함, 총 46명이 활동할 계획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183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안전성 평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지난 2011년 7월 아시아나항공 화물기 추락 사고에 이어 최근 또 다시 대형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항공안전체계 전반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진단·평가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커졌다.
이에 국교부는 이번 위원회 발족을 통해 근본적이고 보다 강화된 항구적인 안전대책을 마련·시행함으로써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킨다는 방침이다.
국교부의 한 관계자는 “항공문화 전반에 대해 진단하고 다양한 국내외 전문가의 자문·의견을 들어 종합적인 항공안전대책을 마련·제시할 계획”이라며 “대책이 수립되면 관계부처의 협의를 거처 철저히 시행함으로서 항공안전문화가 정착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항공안전위원회는 항공전문가 외에 언론, 시민단체, 심리학계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19명(위원장 이동호 서울대 교수)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세부적으로는 안전총괄분과, 운항분과, 정비·기술분과, 시설·관제분과 등 4개 분과에 실무위원 27명을 포함, 총 46명이 활동할 계획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183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안전성 평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지난 2011년 7월 아시아나항공 화물기 추락 사고에 이어 최근 또 다시 대형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항공안전체계 전반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진단·평가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커졌다.
이에 국교부는 이번 위원회 발족을 통해 근본적이고 보다 강화된 항구적인 안전대책을 마련·시행함으로써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킨다는 방침이다.
국교부의 한 관계자는 “항공문화 전반에 대해 진단하고 다양한 국내외 전문가의 자문·의견을 들어 종합적인 항공안전대책을 마련·제시할 계획”이라며 “대책이 수립되면 관계부처의 협의를 거처 철저히 시행함으로서 항공안전문화가 정착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