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결과’ 발표

국민 체감형 현장중심 안전대책 발굴·추진
일반 국민 10명 중 2명만이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2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 이같은 내용의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결과’를 보고했다.
안행부는 지난 7월 18~25일 8일간 전국의 19세 이상 일반 성인 1000명(지역별ㆍ성별ㆍ연령별 인구분포 감안해 표본 추출), 학계ㆍ법조인 등 전문가 100명, 중고생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 대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일반 국민은 24.2%에 불과했다. 그외 44.6%는 ‘보통이다’, 30.4%는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나마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은 안전체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안전하다’가 34%, ‘안전하지 않다’가 37%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안전 취약계층에 속하는 중ㆍ고생들은 안전체감도가 낮았다. ‘안전하다’가 19.7%에 그쳤지만 ‘안전하지 않다’는 답변은 52.2%에 달했다.
국민 안전을 국정 기치로 내건 박근혜 정부의 안전정책에 대한 평가도 다소 실망적이었다. 새정부들어 많은 안전관련 정책이 쏟아져나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민 중 38.1%만이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안전정책이 강화됐다’고 설문에 답했다. 29.2%는 ‘보통이다’, 29.8%는 ‘강화되지 않았다’고 각각 답했다.
안행부는 앞으로 일반국민은 매월(연12회), 전문가·중고생은 분기별(연 4회)로 체감도 조사를 실시하고, 6개월마다 월별 조사결과의 평균값과 추세, 목표관리지표 실적 등을 국민들에게 공개할 방침이다.
이경옥 안행부 제2차관은 이날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번 발표는 박근혜 정부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국민안전에 관한 첫 체감도 조사결과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안전정책조정회의를 통해 중고생을 비롯한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안전대책을 강화하는 한편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현장중심 안전대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