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업단지 내 한화케미칼 공장에서 유해물질이 유출돼 근로자 2명이 부상했다.
지난 9일 오전 11시 5분쯤 전남 여수시 화치동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모 화학회사의 폴리실리콘 공장에서 파이프에 주입한 사염화실란(STC)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STC는 폴리실리콘의 원료로 사용되는 독성 물질이다.
이 사고로 작업 중이던 박모(40)씨와 김모(30)씨 등 근로자 2명이 현기증 등을 호소하다가 병원에 이송됐다.
사고가 난 공장은 태양광연료인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곳으로 당시 실리콘 염화물이 든 배관에 부착된 ‘가스누출을 막기 위한 덮개판’인 맹판을 제거하려고 볼트를 풀다가 남아 있던 미량의 실리콘 염화물이 샌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업체의 한 관계자는 “시험 가동을 앞두고 최종 준비단계에서 파이프를 청소하던 중 남아있던 가스가 누출된 사고”라며 “당시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나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편 여수산단에서는 지난 3월 대림산업 폭발사고 이후 최근 가스 누출 등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산단 내 도로에 C4 가스가 20여 분간 누출됐으며 7월에는 공장에서 부두로 연결된 원료 운송 관로에서 가성소다액 250kg이 누출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지난달 27일에는 한 공장에서 작업 중이던 50대 근로자가 H빔(철구조물)에 맞아 숨졌다.
지난 9일 오전 11시 5분쯤 전남 여수시 화치동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모 화학회사의 폴리실리콘 공장에서 파이프에 주입한 사염화실란(STC)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STC는 폴리실리콘의 원료로 사용되는 독성 물질이다.
이 사고로 작업 중이던 박모(40)씨와 김모(30)씨 등 근로자 2명이 현기증 등을 호소하다가 병원에 이송됐다.
사고가 난 공장은 태양광연료인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곳으로 당시 실리콘 염화물이 든 배관에 부착된 ‘가스누출을 막기 위한 덮개판’인 맹판을 제거하려고 볼트를 풀다가 남아 있던 미량의 실리콘 염화물이 샌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업체의 한 관계자는 “시험 가동을 앞두고 최종 준비단계에서 파이프를 청소하던 중 남아있던 가스가 누출된 사고”라며 “당시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나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편 여수산단에서는 지난 3월 대림산업 폭발사고 이후 최근 가스 누출 등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산단 내 도로에 C4 가스가 20여 분간 누출됐으며 7월에는 공장에서 부두로 연결된 원료 운송 관로에서 가성소다액 250kg이 누출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지난달 27일에는 한 공장에서 작업 중이던 50대 근로자가 H빔(철구조물)에 맞아 숨졌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