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의식 개선 필요성에 대부분 공감
우리나라 성인남녀 10명 중 9명은 자신이 안전불감증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업체 사람인은 성인남녀 1,689명을 대상으로 ‘안전불감증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지난 8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85.3%가 본인이 안전불감증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가장 안전불감증이 심한 항목을 묻는 질문에는 교통안전(40.3%,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는 ▲사이버안전(24%) ▲식품안전(21%) ▲생활안전(20.1%) ▲폭력(17.2%) ▲산업안전(16.4%) ▲환경안전(14.2%) ▲자연재난(13.9%) ▲공공안전(8.1%) ▲문화재안전(4.9%) 등의 순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통안전에선 무단횡단(46.6%)이 가장 많이 안전을 무시한 행동으로 꼽혔다. 이어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36.1%), 신호위반(34.1%), 과속(32.2%), 속도 위반(27.4%), 안전띠 미착용(25%) 등의 순이었다.
이밖에 생활안전에서는 ‘에스컬레이터 걸어서 이동’(40.3%)이, 산업안전에서는 ‘안전 수칙 미준수’(53.4%), 환경안전에서는 ‘불법 폐기 등 발견 시 미신고’(41.5%), 자연재난에서는 ‘주변 정리 등 준비 부족’(50.5%) 등이 가장 빈번히 하는 안전불감증 행동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안전에 대해 소홀하게 생각하는 이유로는 가장 많은 54.3%(복수응답)가 ‘직접 피해를 겪지 않았기 때문에’라고 응답했다. 뒤이어 위험하지 않을 만큼은 지키고 있어서(28.6%), 일일이 안전성 여부를 고려하기 귀찮아서(26.5%), 다들 편하게 생각하고 있어서(24.4%), 관련 정보를 얻기 어려워서(10.5%) 등의 이유를 들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안전불감증 수준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5.8%가 심각한 수준을 의미하는 ‘빨간불’을 선택했다. 조금 걱정되는 수준인 ‘노란불’은 42.7%였고, 괜찮은 수준인 ‘초록불’은 1.5%에 불과했다.
안전불감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개인의 안전의식 개선’(36.5%)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정부의 안전정책·통합관리시스템 강화(13.6%), 사건사고 발생 시 처벌 강화(10.7%), 국민적 안전문화 시행(9.3%), 학교·기관 등 안전교육(7.4%) 등이 있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