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시간제 일자리’ 비정규직, 고용불안 등 부정적인 이미지 강해
박근혜 대통령이 ‘시간제 일자리’를 대신해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용어를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6일 인천광역시청을 방문해 송영길 시장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시간제 일자리라는 것이 좋은 어감으로 와 닿지 않는다”며 이 같이 언급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정부가 추진하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라는 것은 자신이 하루 종일은 아니더라도 몇 시간 일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선택제 일자리’라는 용어가 어울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앞으로 정부는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어느 정도 수요가 있는지 살펴본 후 차별받지 않고 자기가 선택해서 일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적 지원에 집중하겠다”며 “특히 여성들이 경력 단절의 고통을 겪지 않고 가정과 일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을 잘 만들어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용어 변경을 제안한 것은 시간제 일자리가 비정규직이나 저임금, 고용불안 등 부정적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27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시간제 일자리라는 표현에서 뭔가 편견을 쉽게 지울 수 없다”라며 “새 출발을 하는 마당에 공모 등을 통해 좋은 단어로 바꾸는 게 좋을 것 같다”며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네이밍(naming)’을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모를 진행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대체 용어로 선정했고 박 대통령도 이를 긍정적으로 여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해 볼 때 정부에서 사용하는 정책 용어도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변경될 전망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기존 용어가 근로자를 시간제로 사용하는 고용주가 주체가 되는 용어였다면 바뀔 용어는 시간을 선택해 일하는 근로자가 주체가 되는 의미가 있다”라며 “다양한 일자리 창출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가 표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