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역학조사 및 이주 타당성조사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건의
잦은 사고로 주민들 생존권 위협 최근 여수국가산업단지 내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전남 여수상공회의소가 여수산단 주변마을에 대한 이주대책 마련을 정부에 건의했다.
여수상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의문을 청와대와 국무총리,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야 대표 등에게 보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여수상의에 따르면 중화학공장이 밀집한 여수국가산단의 경우 종합적인 환경대책을 수립하지 않아 주변마을 주민들이 환경오염과 안전문제 등을 이유로 집단행동과 민원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수상의는 건의문에서 “최근 여수산단 내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함에 따라 불안을 느낀 주민들이 생존권 수호 차원에서 본격적인 이주대책 마련을 위한 투쟁을 전개하고 있다”며 “ 공해 및 산업재해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여수산단 주변마을 주민들의 이주대책 수립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참고로 여수산단 주변지역인 해산마을의 170여 가구 주민들은 지난 3월부터 집단 이주를 요구하며 D산업과 시청을 찾아 이주촉구 집회를 열고 있다. 해산마을은 여수산단과 직선으로 100m 가량 떨어져 있어 지난 3월 D산업 폭발사고가 발생했을 당시 주민들이 놀라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던 곳이다.
문제는 산단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사고 당시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는데 있다. 현재 이곳은 동풍의 영향으로 역겨운 냄새가 나는 것은 물론 시커먼 색깔의 분진이 날아와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이곳 주민들은 지난달 29일과 30일에도 D산업을 찾아 집단 이주를 촉구하는 농성을 벌였다. 이때 성난 주민들은 공장 진입을 시도하다 경찰과 충돌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수백억 원으로 추정되는 이주비용을 기업체 한 곳이 감당하기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여수상의는 주민들의 이주대책 수립을 정부에 건의한 것이다.
여수상의의 한 관계자는 “연간 100조원의 생산과 385억 달러의 수출 실적, 6조원 가량의 국세를 납부하는 여수산단 내 기업들의 원활한 생산활동을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마을주민들에 대한 건강역학조사 및 이주 타당성조사 용역을 실시하는 등 이주대책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