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방사능 검사 강화 외 대응방안 없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유출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이 일파만파 확대되고 있다. 지난 25일 도쿄전력 등에 따르면 지난 2년간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는 매일 300t가량의 방사능 오염수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저장하는 지상 저장탱크 관리의 허점도 드러났다. 지난 19일 저장탱크 1개에서 오염수 300t이 유출된 것이 확인된 데 이어 23일 다른 탱크 2곳에서도 소량의 오염수 유출이 확인된 것이다.
또한 지난 26일에는 지상탱크 구역의 반대편 쪽에 있는 배수밸브에서도 시간당 최대 16마이크로시버트(μ㏜)의 방사선량이 측정돼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저장탱크에서 오염수가 유출됐을 것으로 전망됐다.
참고로 저장탱크는 후쿠시마 원전 뒷산에 1,000개가 설치돼 있으며 현재 오염수 33만400t을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저장탱크는 용접 없이 볼트와 고무패킹으로 철강재를 조립한 것으로, 고무패킹 등이 무게를 오래 견디기 어려워 오염수가 유출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도교전력은 이번에 문제가 발생한 저장탱크 중 2곳의 오염수를 다른 탱크로 옮기기로 했다.
한편 도쿄전력에 따르면 지난 19일 원전에서 500m 떨어진 바다 5곳에서 채취한 바닷물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 농도가 1리터(L)당 52~68베크렐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2일 같은 곳에서 측정된 수치의 8~18배에 달하는 것으로, 불과 한 달도 안된 상황에서 오염수 유출로 오염 농도가 짙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와 같은 사태와 관련해 우리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외교부는 지난 23일 주일대사관 경제참사를 일본 외무성으로 보내 수시로 해당 문제와 관련해 대화채널을 구축하자는 입장을 전달했다.
다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방사능 노출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감안해 태평양산 수입수산물의 방사능검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실제로 식약처는 최근 주요 태평양산 6개 수입어종에 대한 방사능검사 빈도를 주 1회에서 주 2회로 늘렸다. 또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서는 수입신고 때마다 전수 검사 체제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해양수산부는 올해까지 원양산 수산물 명태, 꽁치, 다랑어, 상어 등 4개 품목에 대한 조사를 강화키로 했다.
특히 정부는 조만간 국무조정실 2차장 주재로 ‘후쿠시마 오염수 유출 사건’에 대한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하고 대책마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의 움직임에 대해 일부에서는 너무 안일한 대응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14일 외교부가 일본 정부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유출 현황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지만 현재까지도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식약처의 일본 수산물 수입기준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관대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민주당 박혜자 의원은 “일본은 수산물의 세슘 노출 기준을 100베크렐로 강화했는데, 우리나라는 같은 기준을 370베크렐로 유지하고 있다”며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방사성 물질 오염도 단속기준을 높여야 한다”고 당국에 요청했다.
이와 함께 최근 정홍원 국무총리는 일본산 수산물의 안전 우려에 대해 오히려 악의적으로 괴담을 조작, 유포하는 행위를 추적해 엄단하라는 지시를 내려 논란이 가중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