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국내 건설기준에 대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국가건설기준센터(이하 센터)를 지난 6일 개소했다고 밝혔다.
참고로 국가건설기준이란 공사 관계자가 설계나 공사 시에 준수해야 하는 기준으로서 시설물의 안전·품질 및 공사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국가의 중요한 지적 자산이다. 현재는 총 50종(설계기준 21종, 시공기준 29종)의 건설기준이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기준이 과대하게 운영되면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과소하게 운영되면 부실이나 사고로 직결된다는 점에서 국가건설기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그동안 각 기준들이 분산 관리됨으로써 기준 간 내용이 중복·상충되고, 개정 주기도 평균 6년에 달해 신기술, 신공법을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번에 설립된 센터는 건설기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기준 운용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앞으로 센터는 건설기준 개정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학·협회 및 연구기관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평가를 실시하는 업무를 진행할 방침이다.
참고로 국가건설기준이란 공사 관계자가 설계나 공사 시에 준수해야 하는 기준으로서 시설물의 안전·품질 및 공사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국가의 중요한 지적 자산이다. 현재는 총 50종(설계기준 21종, 시공기준 29종)의 건설기준이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기준이 과대하게 운영되면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과소하게 운영되면 부실이나 사고로 직결된다는 점에서 국가건설기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그동안 각 기준들이 분산 관리됨으로써 기준 간 내용이 중복·상충되고, 개정 주기도 평균 6년에 달해 신기술, 신공법을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번에 설립된 센터는 건설기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기준 운용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앞으로 센터는 건설기준 개정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학·협회 및 연구기관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평가를 실시하는 업무를 진행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